728x90
반응형

불쾌감과 우울함 등의 부정적 감정으로 '괴롭다'라고 여기는 것

 

신경이 어느 정도 발달한 동물의 대표적 방어기제로 고통을 느낄 수 있는 거의 모든 동물은 고통을 강하게 회피한다.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고통이 심하면 움직이지도 못한다. 아프다, 아프다 하고 아픈 걸 싫어하지만 바로 그렇게 아픈 것을 피하려는 본능이 생명을 지켜 주는, 방어 작용의 일부인 것이다. 신체에 해가 올 정도의 손상이 임박했음을 알려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통증이 없다면 생명체는 위험을 감지하고 피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일례로 은 주변에 신경이 별로 없어 통증을 잘 느끼지 못하는데, 간암은 발견이 어려워 대한민국 성인 사망률 2위에 이른다.

시각(빛의 자극)/청각(고막의 진동)/후각/미각(화학물질의 자극)/촉각/압각/냉온각 등 다른 감각도 어느 수준을 넘어서면 신경 말단을 자극해 고통으로 변한다. 역치값이 매우 작아 미세한 변화도 쉽게 느낄 수 있으며, 일정 시간 이상 자극받으면 순응하는 다른 감각과 달리 신경에 손상이 없는 이상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순응이 없다. 같은 강도로 통증을 가해도 통증에 무뎌지진 않는다는 뜻. 당장은 고통도 점점 무디게 느껴지는 게 좋을 것 같지만 만일 고통에 순응이 적용되어 시간이 지날수록 약해진다면 생명체는 심각하게 생존을 위협받을 것이다. 어떠한 생명체가 육체적 손상을 입었는데 고통이 무뎌져서 그에 따른 대처를 하지 않는다면 그 생명체의 평균 수명은 뚝 떨어질 것이다. 하지만 작은 상처에도 신경을 너무 날카롭게 만들어 판단력을 흐리고 몸에 박힌 작은 이물질의 제거조차 어렵게 하며 빠른 수술이 필요한 상황에서 일단 마취부터 해야 하는 등등의 문제도 상당히 많다. - 나무위키-고통

 

고통 극복

정신 적으로 안전지대를 즐기는 대신 커다란 대가를 지불할 수밖에 없다. 우리 삶에는 무궁무진한 기회와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그것을 얻는 데에는 고통이 따른다. 그 고통을 받아들이지 못한다면 진정 의미 있는 삶을 살 수도 없다.

 

우리들 대부분은 이 원안에 있는 사람처럼 안전지대에 갇혀 살아간다. 삶이 우리에게 주는 무궁무진한 기회를 붙잡으려면 원 바깥으로 나와야 한다. 그런데 원 밖으로 나오면 제일 먼저 마주치는 것이 바로 고통이다. 이 고통의 벽을 뚫고 나갈 방법을 모르므로 우리는 다시 황급히 안전지대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때 원으로 되돌아가는 일반적인 방법은 자기 합리화이다. '자신 만의 신념을 버리지 않으려는 것.' "나는 이렇게는 하지 않을 거야." "나는 나쁜짓하며 돈벌지 않을거야." "나는 고개를 숙여가면서 까지 성공하려 하지 않을거야." "나는 노동은 하지 않고 투자로만 돈을 벌 거야." 등 무한한 합리화가 가능하다. 이처럼 회피는 올바른 행동처럼 보일 때도 있지만, 심지어 용감하고 이상적인 것이라고 여기지기도 하지만, 결국 그것은 비뚤어진 세계관을 만들 뿐이다. 이건 우리가 자신에게 하는 거짓말 가운데 최악이다. 그것은 당신의 모든 변화를 불가능하게 만든다.

 

전진의 힘

목적의식; 고통을 이겨낼 수 있는 힘을 주는 것.

인간의 초월적인 힘 가운데 첫 번째이기도 한, 전진의 힘은 생명체 자체가 지닌 힘이기도 하다. 살아 있는 모든 생명체는 모종의 목적의식을 갖고 미래로 진화해 나아간다. 작은 미생물이든 어떤 종이든 지구 전체이든 말이다. 

어린아이가 걷는 법을 터득하는 과정을 지켜보라. 아무리 여러 번 넘어져도 아이는 곧바로 벌떡 일어나서 걸으려는 목표를 향해 움직인다. 아이가 지닌 목적의식은 놀랍기만 하다. 아이는 전진의 힘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 힘은 아기가 자라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힘은 모든 아이에게서 똑같이 적용하며, 아이들이 미처 인식하지 못하는 보편적인 존재로서 작동한다. 그런데 성인이 되면 다르다. 성인에게 주어진 (1) 중요한 과제는 이 세상에서 자신의 목표를 발견하는 것이다. 이 목표는 사람마다 다르며 목표를 찾는 것은 다분히 개인적인 문제에 속한다. (2) 전진의 힘은 개인이 의식적으로 그것을 사용하기로, 그리고 거기에 동반되는 고통을 받아들이기로 선택할 때에만 그 개인의 삶에서 작동하기 시작한다.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와는 반대의 선택을 한다. 즉 고통을 피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 결과 자신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며 진정한 자신의 모습도 발견하지 못한다.

고통에 맞서 전진하라.

자신의 목표를 발견하고, 그에 수반되는 고통이 무엇인지 알았다면, 그것에 맞서 전진한다.첫 번째 단계에서 고통을 향해 어디 한번 덤벼보라며 도전적으로 맞설 때는 최대한 극단적인 상황까지 상상하라. (1) 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상황을 맞는다면 어떤 기분이 들겠는가? 무대에서 연설하는 당신에게 청중이 강렬한 야유를 보내는 것, 침을 뱉는 것, 쓰레기를 던지고 욕지거리를 하고, 들고 내쫓아버리는 것, 인터넷에 수년간 회자되며 웃음거리로 조롱받는 것 등등 말이다. 최악의 상황을 받아들일 각오가 되어 있다면 그보다 덜 나쁜 상황은 더 쉽게 맞이할 수 있다. 고통이 강렬할수록 그리고 더욱 적극적으로 거기에 뛰어들수록 더 많은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다.최악을 상상했다면, 그 과정을 미친 듯이 받아들여라. "좋다. 고통이 좋아. 난 고통이 좋아!"그리고 (2) 그 고통을 있는 그대로 느껴야 한다. 최악의 고통을 느끼며, 좋다고 되뇌어라.

(3) 고통이 나를 놓아준다.

하늘의 구름이 걷히고 따듯한 햇살이 내리쬐는 하늘이 보일 것이다.

고통을 피하려는 욕구, 고통을 향해 나아가려는 욕구고통에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따라 고통을 경험하는 방식은 달라진다. 고통을 향해 정면으로 다가가면 고통은 움츠러든다. 고통에서 달아나려고 하면 고통은 더욱 커진다. 고통을 피하려고 하면 고통은 악몽 속의 괴물처럼 쫓아오게 되어 있다. 그 괴물과 당당하게 맞서면 괴물은 발길을 돌려 달아날 것이다.

고통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유발하는 두려움이라는 감정을 원하는 것임을 기억하라.

고통에 맞서 전진해야 할 때,

하기 싫은 어떤 행동.피라고 싶은 일을 하기 직전의 순간.

 

그러한 순간, '지금 당장' 사용한다.지금 당장, 상상할 수 있는 최악을 상상한다.고통을 느끼며, 좋다고 되뇌어라.고통이 나를 놓아준다.

 

용기 : 두려움에 직면하여 행동할 줄 아는 능력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게 용기 있게 행동하기 힘든 이유는 두려움을 경험하는 방식 때문이다. 사람들이 갖는 두려움은 아직 오지 않은 미래를 끔찍하게 상상하는 것과 항상 연결되어 있다. 

미래의 모습에 집착하면 할수록 언행은 마비된다. 그래서 그러한 상황이 오지 않는다고 확실할 때까지 아무런 행동도 하지 못한다. 하지만 애초에 그러한 확신은 불가능하다. 

대신 현재에 집중하라. 현재야말로 행동할 수 있는 용기를 발견할 유일한 공간이기 때문이다. 지금 현재 그 두려움이 당신에게 어떤 '느낌'을 주는지에만 온전히 집중해라. 미래의 끔찍한 상황과 두려움을 분리하고 나면, 이제 '전진하기 1st The Tools'를 이용해 그 두려움을 극복하면 된다. 

 

끔찍한 결과를 원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유발하는 두려움이라는 감정을 원하는 것임을 기억하라.

두려움을 편안하게 받아들이고 행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ools 필 스터츠, 배리 미첼스 지음 이수경 옮김 참고.

관련글

놀랍게도 사람들이 잘 모르는 "고통의 비밀" Tools Part 1. 정신적 고통에 맞서는 용기

최근 놀라운 연구 결과 분노를 초월하는 '이것' Tools part 2. 분노를 초월하는 생각 도구

자존감 낮은 사람 180도 즉각적으로 바꾸는 '이것' Tools Part 3. 그림자. 근본적인 해결책

걱정하면 오히려 편해지는 마음, 당신은 속고있다. Tools Part 4. 감사와 행복.

강철 같은 의지, 인생을 바꿀 놀라운 힘의 비결 Tools Part 5. 중단 없이 실천하는 방법.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